국내최초의 경질우레탄폼 심재준불연 단열재

심재준불연 단열재 엑실드 EXIELD

엑실드는 왜 개발되었는가?어떻게 개발되었는가?어떤 특징을 가졌는가?

2021.12. 건축법 개정과 난연성능 기준 강화

2020년 3월 이후 3차에 걸쳐 단열재의 난연성능 기준 강화

2022년 2월 이후 단열재의 소재 자체로(심재) 준불연 성능 이상 요구

빈번한 대형화재 사고

불에 약한 유기단열재 사용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

연구의 착안점 발견

새로운 심재준불연 단열재 개발

검증된 경질우레탄폼 단열재 성능 개선

건물의 외벽에 준불연 이상의 단열재 사용

1면 준불연
(1면에 코팅, 불연면재 등 적용)

1면에 대하여
    열방출 시험
    가스유해성 시험

건물의 외벽에 준불연 이상의 단열재 사용
준불연 성능 기준 강화

3면 준불연
(양면에 코팅, 불연면재 등 적용)

3면에 대하여
    열방출 시험
    가스유해성 시험

건물 외벽마감 전체를 하나로 보아 준불연 이상 마감재 사용
준불연 성능 기준 강화

심재 준불연
(소재 자체로 준불연)

단열재를 구성하는 모든 소재에 대하여
     열방출시험
     가스유해성 시험

외벽을 구성하는 모든 마감재에 대하여
     실물모형시험

경질우레탄폼(PUR) 단열재 : 친환경, 고성능, 자기소화성
  ▶화재 시 유독가스 발생 (준불연 성능 불가능)

1, 3면 준불연경질우레탄폼 단열재 : 면재 보강, PIR소재
  ▶불연면재 또는 코팅을 통해 준불연 성능 확보
  ▶심재만으로는 준불연 성능 확보 불가능

유독가스 방출로 인한 준불연 성능 구현 불가능?

우레탄폼의 원료인 MDI는 화재 시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유독물질로 소재만으로는 가스유해성 시험을 통과할 수 없다는 것이 정설

경질우레탄폼 단열판은

상부와 하부에 부직포 등 면재를 투입하고 하부 면재 위에 원료(PUR 또는 PIR)를 분사하는 연속식 발포, 성형설비를 통해 제조

경질우레탄폼 단열판의 생산공정

  • PU 제품은 제조 특성 상 원재료와 발포제를 상하부 면재 사이에 주입하여 발포하여 제조하는 바, 면재와 원료가 닿는 면은 일정 두께의 미반응층(Skin층)이 형성됨.
  • 간이 화염테스트 시 최초 표면층이 산화될 때 다량의 연기와 가스 등의 방출이 관찰됨
  • Skin층 제거 후 간이 화염테스트시 연기와 가스의 방출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새로운 준불연 단열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
  • 원료사와 함께 가스유해성과 열방출율을 낮출 수 있는 원료 연구 실시
쇼핑몰 화재 유독가스 발생

화재 현장에서의
연기와 유해가스는
많은 인명 피해의 원인

2021년 3월 제품의 연소시험 중 중대한 발견!!!

우레탄폼의 표면에 형성된 미반응층(스킨층) 제거 시 불완전연소 저감

준불연 시험 결과 열방출은 부적합하였으나 가스유해성은 적합 (11분 이상)

면재 부착 PIR 보드

면재 제거 PIR 보드

스킨제거 PIR 제품은 가스유해성 시험 통과

경질 우레탄폼 단열재 종류별 연소 시험

면재 부착 PUR 보드

미반응층 제거 전 엑실드

면재 재거 PUR 보드

미반응층 제거 후 엑실드

Scroll to Top